AnotherThinkingLab 어나더씽킹랩

Thoughts + Education, 토론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교육 실험

아이와 부모가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교육을 지향합니다

AnotherThinkingLab 어나더씽킹랩
공감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대화의 기술> 날씨 이야기로 과학적 호기심까지 키울 수 있다고요?!

"친절한 말은 짧고 하기 쉽지만 그 울림은 참으로 무궁무진하다" 마더 테레사의 명언입니다. 저는 이 문장에 '대화'를 대입해 봅니다. 일상 속 아이와의 대화는 짧고 하기 쉽지만 그 대화가 주는 효과와 울림은 상상 그 이상입니다. 그러려면 그냥 '말'이 아닌 주고받는 '대화'를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오늘은 사소한 대화 하나가 어떻게 아이의 지적 호기심을 키우고 앎의 즐거움을 일깨우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한 줄 토론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오늘의 질문> 반려 동물 키우기, 어떤 자격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엄마, 우리도 강아지(고양이) 키우면 안돼? 제발~~" 아이를 둔 집집마다 한 번은 벌어지는 풍경이 아닐까 싶습니다. 저도 벌써 몇 년 째 반복적으로 겪고 있는데요, 전에는 그저 어린 나이를 핑계 삼아 미루기 급급했다면 지금은 '입양 가능성'을 전제로 좀 더 진지하고 깊이 생각해보도록 유도합니다.

공감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코딩 교육이 의무화 된다는데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할까요

2025년부터 코딩 교육이 의무화 된다는 발표에 학부모들은 술렁이고 있습니다.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교육이라는 건 알지만 코딩을 잘 모르는 부모님들은 당장 불안하고 걱정이 밀려 듭니다. 코딩의 'C'도 모르던 부모인 제가 3년 동안 코딩을 하고 있는 아이를 보면서 느끼는 점은 코딩 교육의 본질을 들여다봐야 '답'이 보인다는 것입니다.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밥상 머리 토론> '심심한' 음식을 먹으며 '심심한' 사과에 대해 대화하니 '심심'하지 않았던 그날

밥상 머리는 토론 초보자들에게 가장 편한 장소이자 시간입니다. 식탁에 앉은 순간 만큼은 '침묵'이 가장 큰 적입니다. 화기애애한 일상적 이야기도 좋지만 때로는 식탁에 어울리는 토론 주제를 올리고 대화해 보세요. '토론 실전'을 보다 세분화 해 초보자를 위한 자료를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오늘은 먼저 '심심한 사과'를 식탁 위에 올려 볼까요?

한 줄 토론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오늘의 질문> 학교는 왜 가야 할까?

전국 초,중,고등학교가 개학을 했거나 앞두고 있습니다. 1학기 지나면 2학기, 1학년 지나면 2학년, 습관적으로 이어지는 과정이 아닌 자기주도적인 학교 생활을 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오늘의 질문을 통해 아이가 그 답을 찾을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공감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대화의 기술> 잠수교->폭우->기후 변화->역지사지->맨홀->수학으로 이어진 대화가 남긴 것

토론은 곧 대화입니다. 토론을 잘하기 위해서는 대화 기술이 필요한 법이죠. 그러나 대화는 그 자체로 막강한 힘을 발휘합니다. 아이가 어릴 때부터 깊이 있는 대화를 습관적으로 하며 대화의 기술을 축적해 나간다면 엄마표 토론은 물론이고 그 어떤 갈등 상황에서도 큰 힘이 됩니다. 일상의 소재로 시작해 연결하고 확장해나가는 방식으로 대화의 기술을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왜 뉴스 토론인가!(1) 뉴스 토론이 좋은 7가지 이유

뉴스 콘텐츠를 재료로 '엄마표 토론'을 해 온 지 4년이 됐습니다. 왜 하필 뉴스를 택했는지, 그동안 토론 활동을 통해 체감한 뉴스 토론의 장점은 무엇인지 짚어봅니다.

독일교육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독일 교육 과정으로 본 초등학교 만 5세 입학 논란

교육부의 '초등학교 만 5세 입학 추진' 논란으로 한동안 온 나라가 시끄러웠습니다. 교육부 장관의 자진 사퇴로 사실상 철회된 상태지만 급작스러운 발표로 혼란을 초래하며 엄마들 마음에 생채기가 남은 게 사실입니다. 이번 논란을 보면서 자연스레 독일의 학제와 교육 과정을 떠올렸습니다.

한 줄 토론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오늘의 질문> 닭이 먼저일까, 달걀이 먼저일까?

이라 불리는 난제 중의 난제지만 '달걀'은 아이들과 가장 친숙한 식재료이자 밥상머리 대화의 주제로 올리기 좋은 재료이기도 합니다. 연령 불문, 호기심을 자극하고 상상력을 동원하고 과학적 지식으로 확장도 가능한 질문을 식탁 위에 올려보시면 어떨까요.

공감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전략적 야단 치기 '목표는 비난이 아니라 변화'

방학은 부모와 아이 간에 신경전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기간입니다. 학교 다닐 때보다 많은 시간을 함께 붙어 지내니 안 보이던 것들도 보이고 또 사소한 것들도 하나하나 더 거슬리고요. 그런데 야단을 치는 일은 엄마에게도 아이에게도 에너지 소모, 감정 소모가 많습니다. 보다 효과적인 결말을 위해 전략적 야단 치기가 필요합니다.

한 줄 토론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오늘의 질문> 비둘기에게 먹이를 주면 왜 안될까?

대부분의 아이들이 먹이를 주어 비둘기 떼를 불러 모으는 상황을 즐거워합니다. 그런데 오래 전 법률 개정을 하는 등 집비둘기 관리 대책을 내놓은 우리나라는 물론 다른 나라들도 먹기 주기에 대해 과태료를 부과하는 등 강력한 대책을 시행 중입니다. 비둘기에게 먹이 주기, 무엇이 문제일까요? 꼭 금지를 해야 할까요?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토론 실전! 로또 1등 당첨을 둘러싼 친구 간의 법적 소송, 어떻게 될까?

화제의 드라마 11화에는 로또 당첨을 둘러싼 분배금 소송 에피소드가 등장합니다. 방송이 있기 얼마 전 비슷한 이슈가 기사화 되면서 눈길을 끌기도 했는데요. 오늘은 이 사건을 두고 아이와 어떻게 대화하듯 토론하면 좋을지 풀어보겠습니다. 아이가 흥미로워할 만한 주제이기도 하지만 가치관 정립 차원에서도 좋은 주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