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을 일상 속에서 습관화 하기 위한 방법 A to Z, 그리고 엄마표 토론 활동을 위한 실전용 콘텐츠입니다.
버추얼 보이 그룹 플레이브의 인기와 함께 버추얼 아이돌이 K팝 시장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는 평가입니다. 유튜브 시장에서도 버튜버들의 활동이 점점 커지고 있는데요, 이들 가상 캐릭터의 활약은 대중문화 시장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요?
세계 3대 미술품 경매회사인 크리스티가 최근 AI 미술품만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경매를 진행해 예술가들의 반발을 사는 등 화제가 됐습니다. AI의 창작 활동에 관한 논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AI 미술품이 경매 시장에서 거래되는 것은 어떻게 봐야 할까요?
유명 뮤지컬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의 예수 역할에 흑인 여성 배우가 캐스팅돼 뜨거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PC주의' 논쟁에 대해서도 생각해 봅시다.
눈의 도시인 일본 삿포로에서 눈 치우기 관광 상품이 출시돼 화제입니다. 누군가에게 귀찮고 힘든 일이 관광 상품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음속보다 빠르게 비행하는 초음속 여객기 개발 및 시험 비행에 성공한 민간 기업 사례가 화제입니다. 전 세계 어디든 4시간 이내에 왕복 가능하다는 초음속 비행 시대, 곧 현실이 될 수 있을까요?
AI를 활용해 학생들의 학교생활기록부를 작성하는 교사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교사들은 업무 효율에 긍정적이라고 평가하는 반면 학생부가 입시에 중요한 자료라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옵니다.
기후 변화로 인한 식자재 공급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전략으로 '헤징 메뉴'가 뜨고 있습니다. 올해 외식 업계를 관통하는 키워드로도 거론된 헤징 메뉴에 대해 알아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하자마자 2021년 의회 폭동 주도자 및 가담자를 대거 사면해 논란이 됐습니다. 바이든 전 대통령 또한 대통령 직을 내려놓기 직전에 가족과 정치적 동지들을 선제적으로 사면했고요. 우리나라에서도 대통령의 사면권 행사가 논란을 빚었던 사례가 많습니다. 대통령 사면권 제한할 필요가 있을까요?
독일 법원이 두바이에서 생산되지 않은 초콜릿에 '두바이 초콜릿' 이름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판결을 내렸는데요, 한쪽에서는 '일반명사로 볼 수 있다'는 반론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수능 논·서술형 문항 도입 및 수능 체제 이원화 등에 대한 국민 참여 토론회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미래 교육을 위해 논·서술형 시험은 어떤 장점이 있을지 또 학생들 입장에서는 어떻게 받아들일지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가 필요합니다.
요즘 길에서 붕어빵 가게 찾기 정말 힘든데요, 불법 영업 단속 강화 문제와 재료비 상승 등의 이유가 있다고 합니다. 어린 시절 붕어빵에 대한 추억을 나누며 아이들과 즐거운 대화의 소재로 삼아 보시길.
지난 해 미국 등에서 먼저 도입된 인스타그램 10대 계정이 올해부터 우리나라에도 적용됩니다. 정책의 주요 내용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얼마나 효과적일지 어떤 보완이 필요할지 등을 생각해 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