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인구의 급격한 증가 등으로 다시 설탕세 도입 논의가 활발합니다. 세계 120개국 이상에서 이미 도입한 설탕세, 국내에도 도입해야 할까요?
지난 8월 말, '제 2회 기후 수학능력시험'이 개최됐습니다. 정답을 맞히고 점수를 내는 것이 목적이 아닌 미래 세대의 주인공인 청소년들을 '기후 시민'으로 키우기 위한 의미 있는 시도인데요, 이를 계기로 우리의 기후 위기 교육, 환경 교육의 현실을 돌아보는 계기가 됐으면 합니다.
취업 시장에서도 AI 활용이 보편화되는 분위기입니다. 많은 구직자들이 자기소개서 작성 시 AI를 이용한 경험이 있다고 하는데요, 이를 걸러내기 위해 기업들은 AI 판별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AI 이용의 적정선은 어디일까요?
청소년들의 고카페인 에너지 드링크 과다 섭취 문제가 심각한 수준인데요, 영국에서는 16세 미만에 판매를 전면 금지하는 방안을 내놨습니다. 교내 판매만 금지되고 있는 국내에도 도입할 필요가 있을까요?
세계적으로 스마트폰, SNS 사용을 제한하는 법안 논의가 이어지는 가운데 일본의 한 소도시에서는 모든 시민의 스마트폰 사용을 하루 총 2시간 이내로 제한하는 조례안이 통과됐습니다. 처벌 규정은 없긴 한데, 이 조례안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어지럽고 복잡한 내 방과 책상을 정리해주는 로봇이 있다면 어떨까?'라는 생각, 해 본 적 있나요? 수많은 사진을 학습해 스스로 '깔끔함'의 기준을 세우고 알아서 정리해주는 AI 기술이 개발됐습니다.
콘텐츠 소비 패턴이 넷플릭스 같은 OTT 중심으로 바뀌며 극장 산업이 위기를 맞고 있는데요, 최근 국회에서 극장 상영 종료 후 6개월 간 OTT 공개를 막는 법이 발의돼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방부'를 '전쟁부'로 개명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아직 영구 개명을 위한 입법 절차는 남아 있지만 홈페이지 등은 신속하게 '전쟁부'로 변경됐습니다. '방어' 대신 '전쟁'을 강조한 이번 부처 개명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AI 기술이 정치 및 행정 영역에 도입되면 어떻게 될까요? 알바니아가 세계 최초로 AI 장관을 임명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제35회 이그노벨상 시상식이 최근 미국 보스턴에서 열렸습니다. '먼저 웃고 그다음 생각하게 만드는 연구'에 수여되는 이그노벨상, 올해는 어떤 괴짜 연구들이 수상자로 선정됐을까요? 또 이그노벨상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는 무엇일까요?
토론 교육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는 가운데 경기도교육청은 올해부터 토론 교육을 강화하며 '다름과 공존하는 경기토론교육 모형'을 제시했습니다. 이 교육 모형의 바탕이 되었다는 독일의 보흐텔스바스 협약에 대해 알아볼까요?
여당이 언론의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허위 보도에 대해 손해배상 책임을 묻기 위한 개정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언론뿐 아니라 유튜브도 규제 대상에 포함될 전망인데요, 언론 자유와 사회적 책임, 가짜뉴스로 인한 피해와 구제 등을 중심으로 몇 가지 핵심 토론 쟁점을 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