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otherThinkingLab 어나더씽킹랩

Thoughts + Education, 토론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교육 실험

아이와 부모가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교육을 지향합니다

AnotherThinkingLab 어나더씽킹랩
독일교육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유급' 제도 존재하는 독일 교육 시스템, '자발적' 유급은 전략적 선택?

독일 교육 시스템에는 성적 미달로 인한 '유급' 제도가 존재합니다. 더불어 스스로 1년을 더 다니거나 학년을 낮추는 '자발적 유급' 사례도 종종 있는데요, 각자의 다른 학습 속도가 다를 수 있다는 인식에 기반한 것으로 긍정적 측면이 강합니다.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엄마표 뉴스 브리핑> 챗GPT 많이 쓰면 멍청해진다고?

교육 현장에서 AI 기술을 활용하는 것을 두고 논쟁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최근 MIT에서는 학생들이 챗GPT를 활용해 학습할 때 일어나는 두뇌 활동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엄마표 뉴스 브리핑> 쓰레기통이 있어야 깨끗할까, 없어야 깨끗할까?

프랑스 파리에서는 거리 환경 개선을 위해 쓰레기통을 없애는 실험을 시작했습니다.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1995년 이후 줄이거나 없애왔던 공공 쓰레기통을 지자체 별로 부활하고 있고요. 거리 환경 개선이라는 같은 목적 아래, 과연 어떤 방식이 더 효과적일까요?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엄마표 뉴스 브리핑> 챗 GPT 만난 바비 인형, 장난감도 AI 시대?

바비 인형으로 유명한 장난감 제조사 마텔이 오픈AI와 손잡고 AI 기반 장난감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앞으로 AI 장난감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되고 있는데요, AI 장난감의 장점과 과제는 무엇일까요?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엄마표 뉴스 브리핑> 반려견 산책을 금지한 아파트가 있다고?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많아지면서 곳곳에서 크고 작은 갈등이 벌어지기도 하는데요, 최근 한 아파트에서는 배설물 관리가 안 된다는 이유로 주민 투표를 통해 반려동물 산책 금지를 결정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토론 실전!> '트랜스젠더 선수의 여성부 경기 출전, 공정한가' 찬반토론

최근 몇 년 새 스포츠 경기 내 성별 기준으로 인한 문제 제기가 이어져 온 가운데, 얼마 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트랜스젠더 선수가 고교 육상 대회 여성부 경기에서 우승해 공정성을 둘러싼 뜨거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알쓸뉴스> 생선 통조림 소비 급증, '불황형 소비' 징후라고? (+립스틱 지수, 넥타이지수, 헴라인 지수?)

미국에서 생선 통조림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고 해요. 이는 불황일 때 립스틱 등이 잘 팔리는 불황형 소비 징후로 해석되고 있다는데요, 경제와 소비의 관계를 알아봅니다!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엄마표 뉴스 브리핑> 기후위기 대응 위해 태양광 차단 실험한다고?

기후위기가 심화되는 가운데 급기야 태양광을 차단하는 기후공학 기술 검증을 위한 야외 실험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심각한 위기 대응을 위한 인간의 개입은 어쩔 수 없는 것일까요, 위험성을 고려해 막아야 할까요?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엄마표 뉴스 브리핑> 반려동물 음식점 출입 허용, 찬반 논란?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 1천만 시대, 정부가 반려동물 친화적 환경을 만들기 위해 음식점에 반려동물 출입을 허용하는 법 개정을 추진하면서 찬반 논쟁이 일고 있습니다.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엄마표 뉴스 브리핑> 구글 지도 개방, 위험한 선택 vs 관광객 편의?

해외에서 잘 작동하는 구글지도가 국내에서는 그렇지 못하죠. 때문에 외국인 관광객들은 불편을 느낀다는데요, 정부와 구글의 '고정밀 지도 데이터' 반출 논의가 오는 8월로 미뤄지면서 관광 산업 vs 기술 주권의 논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엄마표 뉴스 브리핑> 스쿨존 속도 제한 탄력적으로 운영하자?

어린이보호구역에서 시속 30km, 24시간 일괄 제한 규정이 적용되는 현행 도로교통법을 시간대에 따라 탄력 운영하자는 법안이 발의됐습니다. 이 법은 필요할까요, 아니면 현행대로 유지되어야 할까요?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엄마표 뉴스 브리핑> 현금 사용 비중 더 떨어졌다고? (+현금 없는 사회, 현금이 꼭 필요한 상황?)

우리 국민의 현금 결제 비중이 갈수록 줄어들어 지난해에는 10%대로 떨어졌습니다. 현금 없는 사회로의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가운데, 네덜란드에서는 현금 보유를 권고하고 나서 눈길을 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