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otherThinkingLab 어나더씽킹랩

Thoughts + Education, 토론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교육 실험

아이와 부모가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교육을 지향합니다

AnotherThinkingLab 어나더씽킹랩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엄마표 뉴스브리핑> 2024년 5월 ② 대기 오염 주범 SUV는 주차 요금 3배 내라고?

자동차가 커지고 무거워지면서 환경 오염이 심해졌다? 파리시가 환경 보호 등을 목적으로 SUV 차량에 대한 주차비를 3배 인상하기로 했습니다.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엄마표 뉴스브리핑> 2024년 5월 ② 동물원을 모두 없앤 나라가 있다고? (+'동물원은 필요할까?' 찬반 논쟁)

중미 코스타리카가 세계 최초로 공영 동물원을 모두 폐쇄한 나라가 됐습니다. 10년 전 시작한 공영 동물원 폐쇄 절차를 마무리한 것인데요, 생각해볼 점이 많습니다.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엄마표 뉴스브리핑> 2024년 5월 ② 물가 폭탄 부르는 '기후플레이션'이라고?

기후위기가 우리 삶에 끼치는 영향은 계속 확대되고 있는데요, 이상 기후로 인한 농작물 피해와 그로 인한 물가 상승 즉 '기후플레이션'이 더 자주 보고되고 있습니다.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엄마표 뉴스브리핑> 2024년 5월 ② 광화문 현판, '한문이냐 한글이냐' 찬반 토론 해볼까?

대한민국의 상징이자 역사적 장소인 광화문을 둘러싸고 한자 현판 vs 한글 현판 논의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여러분 생각은 어떤가요? 찬반 토론을 제안합니다.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알쓸뉴스> '친환경' 칸 영화제, 과연? (+전용기와 탄소금융, 그리고 부자들의 탄소 배출)

인종차별 등 논란이 일었던 제 77회 칸 영화제가 막을 내린 가운데, 개막 전 친환경을 강화한다는 영화제 측의 조치들이 눈길을 끌기도 했습니다. 오늘은 칸 영화제를 매개로 부자들의 탄소 배출 실태를 알아보겠습니다.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알쓸뉴스> 휴지보다 못한 지폐, 물건 살 때 배낭에 현금 채워가야 한다고? (+하이퍼인플레이션)

아르헨티나가 1만 페소 초고액권을 발행했습니다. 살인적인 물가상승, 하이퍼인플레이션 때문입니다. 오늘은 인플레이션과 관련한 다양한 경제 상황과 역사 속 하이퍼인플레이션 사례들에 대해 알아봅니다.

공감랩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다시 'NIE(신문 활용 교육)'가 주목 받는 시대! (feat. 수행 평가 준비)

다시 NIE가 주목 받고 있습니다.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 자기 생각과 의견을 갖춘 창의적 인재로 길러내야 한다는 미래 교육의 목표는 물론, 발표, 토론, 탐구, 논서술 등 다양한 형태의 교육 방식 및 평가가 도입, 실행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토론 실전!> '원전'으로 회귀하는 나라들, 원자력 에너지 괜찮을까?

지난 3월, 벨기에 브뤼셀에서 원자력 정상회의가 열렸습니다. 그동안 '탈원전' 기조를 유지해온 유럽 각국이 '원전' 회귀를 선언한 상징적인 의미가 있는데요. 원자력발전, 괜찮을까요? 안전 문제를 비롯한 다양한 측면에서 찬반 토론을 해보았습니다.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엄마표 뉴스브리핑> 2024년 5월 ① '외국 면허 의사 국내 진료 허용 법안'에 국민 반응은?

전공의 집단 사직으로 인한 의료 공백을 메우기 위해 한시적으로 외국 면허 의사를 도입하는 법안이 입법예고된 가운데, 대다수 국민은 반대하고 있습니다.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엄마표 뉴스브리핑> 2024년 5월 ① '어버이날 공휴일 지정'을 둘러싼 찬반?

어버이날을 공휴일로 지정하기 위한 노력은 10년 전부터 꾸준히 이어져 왔다고 합니다. 어버이날을 공휴일로 지정하자고 주장하는 목소리와 현실적 문제를 걱정하는 이들의 의견을 들어봅니다.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엄마표 뉴스브리핑> 2024년 5월 ① 판다 외교 참고해 '오랑우탄 외교'에 나선다고?

세계적인 팜유 수출국인 말레이시아가 판다 외교를 참고해 '오랑우탄 외교'에 나섭니다.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엄마표 뉴스브리핑> 2024년 5월 ① AI로 죽은 사람 살려내는 '데드봇' 서비스 위험하다고?

고인이 살아 생전 남긴 음성 메시지, 메일 등을 학습한 AI 챗봇 서비스인 '데드봇' 서비스 사용자가 늘고 있다고 합니다. 이 서비스는 유족들에게 어떤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끼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