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otherThinkingLab 어나더씽킹랩

Thoughts + Education, 토론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교육 실험

아이와 부모가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교육을 지향합니다

AnotherThinkingLab 어나더씽킹랩
공감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내면 성장 기록을 위해, 내 아이를 인터뷰하는 엄마입니다

저는 아이를 인터뷰하는 엄마입니다. 몇 달 간격을 두고 아이를 주기적으로 인터뷰하며 '내 아이 인터뷰 시리즈'라는 타이틀로 기록도 남기고 있습니다. 아이를 인터뷰하게 된 건 내 아이의 온전한 내면 성장을 기록으로 남기고 싶다는 마음에서였습니다. 그거 아세요? 토론도 인터뷰도 결국은 대화라는 것 말이에요.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엄마표 뉴스 브리핑> 2023년 1월 ① '명품 소비 세계 1위 한국'부터 '머그샷 공개법 발의'까지

새해에도 다양한 이슈가 계속 생겨나고 있습니다. 올해 에 입문해보기로 마음먹었다면 뉴스 브리핑부터 눈 여겨 봐주세요. 시의성 있는 뉴스는 늘 호기심을 끌기에 좋고, 다양한 질문으로 생각을 열고 즐거운 대화를 하기에도 딱이니까요!

한 줄 토론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오늘의 질문> '노인'(늙음)의 기준은 무엇일까?

해가 바뀌고 모두 공평하게 한 살을 또 추가했습니다. (올해 만 나이 적용을 앞두고 있지만 여전히 해가 바뀌면 또 한 살 늘었구나, 란 생각은 여전한 것 같아요.) 어린이, 청소년, 젊은 세대와 중장년, 그리고 노년층이 느끼는 '나이 듦'에 대한 감정은 각각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최근에는 대중교통 요금 인상과 맞물려 법적 노인 기준 상향에 대한 필요성까지 제기되는 등 '노인의 기준' 문제가 뜨거운 논쟁 거리입니다. 아이들은 '노인' 그리고 '늙음'에 대해 어떤 생각과 기준을 갖고 있을까요?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토론 실전!> 객관식 시험 폐지 찬반 , 폐지해야 한다 vs 폐지하면 안 된다

시험을 논제로 다루는 토론은 늘 뜨겁습니다. 아이들에게 초미의 관심사이기 때문이죠. 주입식 위주인 교육의 혁신, 개혁과 함께 늘 거론되는 객관식 시험 폐지도 몇 년 째 교육계 안팎을 달구는 논쟁거리인데요, 실전 토론을 통해 아이들 스스로 '시험'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도 의미 있습니다.

독일교육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어떤 '쓰기'를 해야 할까_독일에서 겪은 쓰기 교육 사례

'우리 아이가 쓰기를 좋아하지 않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토론에 대한 강의나 학부모 상담에서 가장 많이 받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 '쓰기'도 토론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생각을 온전히 드러내는 방식입니다. 때문에 우리는 '쓰기를 위한 쓰기'가 아니라 어떤 '쓰기'를 교육할 것인가에 대해 더 많은 고민을 해야 합니다.

공감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새해 그리고 '행복'에 대한 질문과 답이 만드는 따뜻한 관계

희망으로 가득한 새해를 시작하셨나요? 올해는 '어떤 시간'이 되길 바라시나요? 한 해를 열면서 우리가 늘 떠올리는 '행복'이란 단어에 대해 좀 더 깊이 생각해볼 수 기회와 자극의 순간을 나누고자 합니다.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엄마표 뉴스 브리핑> 12월 ② 초등생 희망 직업 순위부터 얼굴 없는 천사들 소식까지

한 해를 마무리하는 뉴스들 속에서도 아이에게 질문하고, 함께 대화해 볼 다양하고 새로운 이슈들이 눈에 보이네요. 12월의 두 번째 뉴스를 선별했습니다.

한 줄 토론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오늘의 질문> 선물의 가치를 결정하는 것은 무엇일까?

크리스마스 잘 보내셨나요? 아이들은 선물을 받고 행복해 했나요? 연말연시까지 이어져 선물을 주고 받는 일이 많은 때입니다. 이럴 때 아이와 '선물의 가치'에 대해서 대화해본다면 선물을 준비할 때도 받을 때도 좀 더 남다른 마음이 되지 않을까요.

공감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어린이의 책 읽기와 어른의 책 읽기...독서에 관해 지금 우리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 것

아이들의 책 읽기와 어른의 책 읽기는 달라야 합니다. 어릴 때의 독서는 무조건 즐겁고 기쁘고 행복한 일이어야 합니다. 그래야 평생 책을 가까이하며 살 수 있게 되죠. 반면 어른의 독서는 때론 치열하다 싶을 만큼 꼭 필요한 공부의 하나로 접근해야 합니다. 그런데 우리는 지금 정 반대로 하고 있습니다.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토론 실전!> 산타는 과학일까, 매직일까

크리스마스 시즌입니다. 아이들은 산타가 오시는 날을 하루하루 손꼽아 기다리고 있죠. 이럴 때 산타를 주제로 한 토론 활동을 해보면 아이들 눈빛이 반짝반짝 빛날 겁니다. 마법 같은 존재로서의 산타는 물론, 산타에 대해 '연구하는' 과학자들의 '이론'이 대화를 보다 풍성하게 해줄 거예요.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엄마표 뉴스 브리핑> 12월 ① '만 나이'로 통일부터 채팅봇 챗GPT까지

12월 초~중반에는 어떤 일들이 있었을까요. 옥스퍼드 영어 사전이 공개한 2022년 올해의 단어, 고등학교를 갓 졸업한 18세 청년이 시장이 됐다는 소식, 일론 머스크의 뉴럴링크가 동물학대 논란에 휩싸였으며, 오픈AI의 채팅AI인 챗GPT가 엄청난 화제를 모으는 등 글로벌 뉴스들이 눈에 띕니다. 뉴스를 매개로 흥미진진한 대화할 준비, 되셨나요?

공감랩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IB 과정 도입? 토론의 시대가 오고 있습니다

최근 서울과 경기교육청에서 IB프로그램 도입에 적극적인 가운데, 이미 시행 중인 대구, 제주 등 일부 교육청 뿐만 아니라 기타 다른 시,도 교육청들도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IB의 핵심은 토론식 논술 교육인데요, 반대 의견도 만만치 않은 만큼 전반적 도입을 통한 교육 혁신이 언제 이뤄질지는 모를 일이지만, 논의가 이뤄지는 것만으로 이미 변화는 시작되었습니다. 2028학년도 대입에 논서술형 수능이 도입될 것으로 보이는 것도 그 중 하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