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otherThinkingLab 어나더씽킹랩

Thoughts + Education, 토론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교육 실험

아이와 부모가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교육을 지향합니다

AnotherThinkingLab 어나더씽킹랩
공감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부모를 '경험'하는 아이 : '물리적' 존재 아닌 '의미적' 존재가 되어주세요

부모는 아이가 가장 가까이에서 '경험'하는 존재적 '사례'입니다. 아이에게 어떤 경험이 될 것인가, 어떤 자극이 되는 존재가 될 것인가는 우리 자신에게 달려 있습니다.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토론 실전!> '역사 드라마는 역사적 사실만 다뤄야 한다' 찬반 토론

정통사극 위주의 역사드라마가 주류였던 과거와 달리 지금은 상상과 허구를 기반으로 한 판타지 역사극이 더 대중적입니다. 문제는 심각한 역사 왜곡 논란이 빈번하게 벌어진다는 점인데요, 최근 몇 년 사이 더 뜨거운 감자가 됐습니다. 판타지 사극 등은 청소년들에게도 인기가 많은 만큼 어릴 때부터 올바른 시각 형성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공감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공부머리 생각법?!이런 시험 문제, 어떠세요?

생각하는 힘이 '경쟁력'이 되는 시대입니다. 공부력 그 이상의 힘을 키우는 질문들을 소개합니다.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오늘의 질문> 동물원이 꼭 필요할까?

3시간의 탈출 소동을 벌인 얼룩말 '세로'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한바탕 해프닝으로만 여길 수 없는 세로의 '사연'은 많은 생각을 하게 합니다.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엄마표 뉴스 브리핑> 2023년 3월 ② 동심 파괴 '곰돌이 푸' 호러 버전부터 얼굴에 흉터 만들기 챌린지까지

이번 뉴스 브리핑은 제법 깊이 있는 생각과 고민을 필요로 하는 이슈들이 많습니다. 누군가는 그냥 지나치겠지만, 질문하고 생각하고 대화하는 우리는 그만큼 깊고 단단하게 성장하는 기회를 갖게 되겠죠.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토론 실전!> 인구 절벽 막기 위한 이민 활성화 정책 '필요하다 vs 신중해야 한다'

낮은 출산율, 고령화로 인한 인구 절벽 문제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올랐습니다.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시대에는 더 절박한 문제가 되겠죠. 어렵더라도 피할 수 없는, 반드시 생각해봐야 할 문제입니다.

공감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AI시대, 어떤 아이로 키워야 할까요?

자고 나면 새로운 기술이 적용된 또 다른 AI 출시 소식이 들려오는 요즘입니다. 두려워할 필요는 없지만 준비가 필요한 때이죠. 초기술 AI시대에 아이들에게 어떤 교육을 해야 할지, 챗GPT와 대화를 바탕으로 정리했습니다.

공감랩독일교육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매쓰캥거루 국제수학경시대회와 독일 수학

얼마 전 3월 16일 매쓰캥거루 국제수학경시대회가 한국을 제외한 글로벌 전역에서 치러졌습니다. 수학 공부란 어때야 하는가에 대해 시사점을 주는 매쓰캥거루 대회와 독일의 수학 교육에 대한 경험을 공유합니다.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엄마표 뉴스 브리핑> 2023년 3월 ① 아이돌 전문 학원 등장부터 보복 사파리 여행 논란까지

오늘 픽한 뉴스에도 등장하지만 AI의 빠른 진화는 사회 전 분야에 걸쳐 화제입니다. 이럴 때일수록 AI가 대신할 수 없는 상상력, 생각하는 힘은 더 중요합니다. 뉴스는 세상을 읽고 생각하는 힘을 기르는 가장 좋은 콘텐츠입니다.

한 줄 토론독일교육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오늘의 질문> 반장(리더)의 자격은 무엇일까?

새 학년 시작과 함께 반장선거 기간이기도 합니다. 독일에서 경험한 '스튜던트 카운실'은 우리의 '반장'과는 역할이 좀 다른데요. 진정한 리더란 어때야 하는지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토론 실전!> 결혼식 축의금 문화, 필요하다 vs 없애야 한다

축하와 축복으로 가득해야 할 결혼식이 언젠가부터 축의금 논쟁으로 얼룩지고 있습니다. 아이들은 축의금 문화를 어떻게 생각할까요.

독일교육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초등학교 입학식, 한국식과 독일식 둘 다 경험해봤더니

입학 시즌인 3월만 되면 독일에서 경험한 초등학교 입학식 풍경이 떠오릅니다. 6개월 차이를 두고 한국식과 독일식을 다 경험해본 입장에서 우리나라의 입학식은 아쉬움이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