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부자들 중 다수는 유대인입니다. 유대인들은 아이가 막 태어나자마자 경제 교육을 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자녀들에게 경제 교육을 하는 것은 정말로 중요합니다. 특히 어릴 때부터 하는 소비 교육이야말로 가장 중요한 경제 교육입니다. 소비가 주는 행복감은 큽니다. 그러나 그 행복도 제대로 된 교육이 이뤄질 때 더 가치가 빛납니다. 경제 교육에서 빠질 수 없는 질문, 돈과 행복의 상관 관계에 대한 것입니다.
독서 교육에 대한 부모님들의 관심이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디지털 시대에 문해력 이슈와 맞물리면서 그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아이들에게 진짜 힘이 될 독서력을 심어주기 위해서는 그 바탕에 책을 사랑하는 마음, 그리고 독서가 주는 즐거움을 스스로 깨닫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슨 무슨 '데이'니 무슨 무슨 '날'과 같은 행사나 이벤트는 아이와 대화 소재로 삼기에 더없이 좋습니다. "오늘이 ~~날이래!"하고 자연스럽게 시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9월 22일은 입니다. 짐작하시겠지만 환경과 관련이 있죠. 식탁 위에서 또는 휴식 시간에 가볍게, 그러나 충분히 의미 있는 토론을 해보기 좋은 화두입니다.
초급 수준의 사자성어인 '역지사지'에는 많은 갈등 상황을 해결할 수 있고, 문제를 풀어갈 수 있는 위대한 힘이 숨어 있습니다. 토론을 할 때 찬반 논쟁을 통해 '역지사지' 하다 보면 공감 능력과 균형적 시각을 기를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역지사지는 부모와 자녀 간의 갈등을 풀어가는 마법 같은 단어이기도 합니다.
자녀의 사춘기가 시작되면 친구 문제로 갈등을 겪는 집들이 많습니다. 그 이전까지는 부모가 아이의 친구 관계를 통제할 수 있는데 사춘기 시기가 되면 그게 불가능해지는 것입니다.이 시기의 친구는 아이에게 큰 영향을 끼치고 또 인간 관계를 통해 많은 것을 배우는 시점이라는 점에서도 중요합니다. 친구를 잘 사귀려면 어릴 때부터 친구에 대한 가치 정립을 형성해주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한국 교육을 받고 성장한 한국 부모님들은 독일 교육을 받고 자라는 자녀들을 보면서 어떤 생각을 할까요? 자신의 경험과 자녀의 경험을 통해 한국 교육과 독일 교육 양쪽 모두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부모님들의 목소리로 생생한 독일 교육 현장에 대해 들어보고자 합니다. 현재를 기준으로 한국, 독일, 싱가포르에서 자녀들에게 '독일 교육'을 시키고 있는 부모님 3인의 인터뷰를 3회에 걸쳐 연재합니다.
한국 교육을 받고 성장한 한국 부모님들은 독일 교육을 받고 자라는 자녀들을 보면서 어떤 생각을 할까요? 자신의 경험과 자녀의 경험을 통해 한국 교육과 독일 교육 양쪽 모두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부모님들의 목소리로 생생한 독일 교육 현장에 대해 들어보고자 합니다. 현재를 기준으로 한국, 독일, 싱가포르에서 자녀들에게 '독일 교육'을 시키고 있는 부모님 3인의 인터뷰를 3회에 걸쳐 연재합니다.
한국 교육을 받고 성장한 한국 부모님들은 독일 교육을 받고 자라는 자녀들을 보면서 어떤 생각을 할까요? 자신의 경험과 자녀의 경험을 통해 한국 교육과 독일 교육 양쪽 모두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부모님들의 목소리로 생생한 독일 교육 현장에 대해 들어보고자 합니다. 현재를 기준으로 한국, 독일, 싱가포르에서 자녀들에게 '독일 교육'을 시키고 있는 부모님 3인의 인터뷰를 3회에 걸쳐 연재합니다.
명절을 코앞에 두고 요즘 '전'이 뉴스에 많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차례상 간소화 얘기인데 핵심은 명절 때마다 반복되는 갈등입니다. 시대가 많이 바뀌었다고 하지만 많은 기혼 여성들에게 여전히 명절은 머리 무거운 시기임에 틀림없습니다. 왜 그럴까요. 시대는 달라졌는데 여전히 일은 여성의 몫인 경우가 많아서입니다. 한 번 쯤은 반드시 다뤄봐야 할 토론 주제인 집안 일 문제, 명절이라는 타이밍에 맞춰 제안해 봅니다. 이 질문을 '아빠들'이 먼저 나서 던져준다면 더없이 좋을 것 같습니다.
과학 분야는 아이들과 토론하기에 최적입니다. 흥미로운 주제가 많다는 점도 그렇지만 역으로 토론을 통해 흥미를 불어넣을 수도 있으니 금상첨화입니다. 최근 미국에서는 AI가 그린 그림이 미술 대회에서 1등을 수상해 뜨거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과학 기술과 예술, 나아가 철학의 분야를 아우르는 토론 이슈입니다.
새 학기가 시작됐습니다. 가을 학기제인 독일은 새로운 학년이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새 학기, 새 학년의 일정을 정리하면서 어쩌면 가장 중요한 게 시험 관련 일정일 텐데요, 독일 학교의 시험 풍경은 한국의 그것과 좀 다릅니다. 아이들에게 최대한 스트레스를 주지 않기 위한 방향으로 '설계'됐다는 점에서 그렇습니다.
"친절한 말은 짧고 하기 쉽지만 그 울림은 참으로 무궁무진하다" 마더 테레사의 명언입니다. 저는 이 문장에 '대화'를 대입해 봅니다. 일상 속 아이와의 대화는 짧고 하기 쉽지만 그 대화가 주는 효과와 울림은 상상 그 이상입니다. 그러려면 그냥 '말'이 아닌 주고받는 '대화'를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오늘은 사소한 대화 하나가 어떻게 아이의 지적 호기심을 키우고 앎의 즐거움을 일깨우는지 살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