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교육 현장에서는 생각 실험이 어떻게 이뤄지고 있을까요.
얼마 전 3월 16일 매쓰캥거루 국제수학경시대회가 한국을 제외한 글로벌 전역에서 치러졌습니다. 수학 공부란 어때야 하는가에 대해 시사점을 주는 매쓰캥거루 대회와 독일의 수학 교육에 대한 경험을 공유합니다.
새 학년 시작과 함께 반장선거 기간이기도 합니다. 독일에서 경험한 '스튜던트 카운실'은 우리의 '반장'과는 역할이 좀 다른데요. 진정한 리더란 어때야 하는지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입학 시즌인 3월만 되면 독일에서 경험한 초등학교 입학식 풍경이 떠오릅니다. 6개월 차이를 두고 한국식과 독일식을 다 경험해본 입장에서 우리나라의 입학식은 아쉬움이 많습니다.
스스로도 '그림을 못 그린다'고 평가하는 아이는 그러나 생각한 바를 그림으로 표현하는 데에는 자신감이 있습니다. 독일 교육이 바꿔 놓은 생각의 차이 때문입니다.
독일은 홈스쿨링이 법적으로 금지돼 있습니다. '국가의 교육 책임'이 그 배경이지만 다툼과 논란은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우리 아이가 쓰기를 좋아하지 않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토론에 대한 강의나 학부모 상담에서 가장 많이 받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 '쓰기'도 토론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생각을 온전히 드러내는 방식입니다. 때문에 우리는 '쓰기를 위한 쓰기'가 아니라 어떤 '쓰기'를 교육할 것인가에 대해 더 많은 고민을 해야 합니다.
독일인들에게 12월은 연중 가장 행복한 시즌입니다. 연중 최대의 축제인 크리스마스가 있기 때문이죠. 아이들은 이 시기 '아드벤트 캘린더'를 매일 한 칸 씩 오픈하며 크리스마스를 기다리죠. 이 즐거운 기다림이 수학에도 적용된다면 어떨까요. 오늘은 독일의 '수학 아드벤트 캘린더(Mathe im Advent)'라는 신박하고 흥미진진한 아이템을 소개하겠습니다.
독일 교육 현장에서는 모든 시험을 객관식 없이 주관식과 글쓰기로 합니다. 토론식 교육이 바탕이 돼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입니다. 말과 글의 관계는 깊습니다. 토론이 글쓰기 능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토론 활동을 어떻게 글쓰기에 활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언젠가 독일 친구가 BBC에 소개된 우리나라의 대학수학능력 시험 당일 풍경 기사를 보여주며 "이게 사실이야?"라고 물은 적이 있습니다. 온 나라가 일 년에 단 하루, 수능 시험 시간에 맞춰 돌아가는 모습에 의아해 하던 친구 표정이 생각납니다. 우리와는 다른 대학 입학 시험 제도를 가진 독일인 입장에서는 의아하게 보이는 게 어쩌면 당연한 일입니다. 독일의 수능 시험이라 할 수 있는 아비투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국 교육을 받고 성장한 한국 부모님들은 독일 교육을 받고 자라는 자녀들을 보면서 어떤 생각을 할까요? 자신의 경험과 자녀의 경험을 통해 한국 교육과 독일 교육 양쪽 모두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부모님들의 목소리로 생생한 독일 교육 현장에 대해 들어보고자 합니다. 현재를 기준으로 한국, 독일, 싱가포르에서 자녀들에게 '독일 교육'을 시키고 있는 부모님 3인의 인터뷰를 3회에 걸쳐 연재합니다.
한국 교육을 받고 성장한 한국 부모님들은 독일 교육을 받고 자라는 자녀들을 보면서 어떤 생각을 할까요? 자신의 경험과 자녀의 경험을 통해 한국 교육과 독일 교육 양쪽 모두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부모님들의 목소리로 생생한 독일 교육 현장에 대해 들어보고자 합니다. 현재를 기준으로 한국, 독일, 싱가포르에서 자녀들에게 '독일 교육'을 시키고 있는 부모님 3인의 인터뷰를 3회에 걸쳐 연재합니다.
한국 교육을 받고 성장한 한국 부모님들은 독일 교육을 받고 자라는 자녀들을 보면서 어떤 생각을 할까요? 자신의 경험과 자녀의 경험을 통해 한국 교육과 독일 교육 양쪽 모두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부모님들의 목소리로 생생한 독일 교육 현장에 대해 들어보고자 합니다. 현재를 기준으로 한국, 독일, 싱가포르에서 자녀들에게 '독일 교육'을 시키고 있는 부모님 3인의 인터뷰를 3회에 걸쳐 연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