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숙한 민주주의 시민 양성’을 목표로

토론 교육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바로 유대인들의 전통적 학습 방법인 하브루타입니다. 교사와 학생, 부모와 자녀, 때로는 친구끼리 나이나 계급, 성별에 관계 없이 두 명이 짝을 지어서 서로 질문하고 답하며 논쟁을 벌입니다. 유교 경전인 탈무드를 공부할 때 사용하던 방식이지만 이스라엘의 모든 교육 고정에 적용될 정도로 보편화된 방식입니다.

독일식 토론 역시 교육 전반에 깔린 철학입니다. 독일 교육의 목표는 ‘성숙한 민주주의 시민을 길러내는 것’입니다. 독일의 정치 거인인 헬무트 슈미트 전 총리는 “논쟁 없는 민주주의는 민주주의가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민주주의 시민 양성의 목표, 그 가장 밑바닥에 있는 기본이 바로 자기 생각과 의견을 갖추고 토론할 줄 아는 능력이고, 상대의 전혀 다른 의견도 당연히 수용할 줄 아는 건강한 의식과 태도를 만드는 것입니다. 세상에 나의 생각과 관점만 있는 게 아니라 다양한 관점과 시각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배우는 과정에서 비로소 성숙한 인간으로 자라날 수 있습니다.

Schule는 독일어로 학교(school)라는 뜻. 

보이텔스바흐에서 시작된 독일 토론 교육의 역사

토론 교육이 독일 전반에 뿌리 내리게 된 배경에는 지금으로부터 약 45년 전 독일의 한 작은 도시에서 이뤄진 ‘보이텔스바흐(Beutelsbach) 협약’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1976년 당시 분단국가였던 독일의 소도시 보이텔스바흐에서는 독일의 교육자, 정치가, 학자, 시민사회단체가 모여 치열한 토론을 벌였습니다. 1970년대 초 사회 곳곳에서 극심한 갈등이 전개되며 보수와 진보 간 대립이 극에 달았고 이것이 초중고 교육 현장까지 영향을 끼치게 되자, 교육 기준 마련이 시급하다고 생각한 까닭입니다. 당시 독일 교육 현장에서는 어떤 것을 가르치고 가르치지 말아야 할 것인가라는 문제를 두고도 엄청난 대립이 있었다고 합니다.

열띤 논의 끝에 이뤄낸 이 협약에서는 교사의 일방적인 주입식 교육이 금지됐습니다. 교육의 목적이 학생 스스로가 독립적인 판단을 하도록 돕는 데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수업 시간에 학생이 문제의 당사자로서 자신의 이해관계를 의식하면서 토론하도록 했습니다. 토론 주제의 논쟁성을 유지하기 위한 원칙인 셈인데, 각자의 이해관계가 얽히면 다양한 의견이 제시될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특히 이 협약의 핵심은 사회적 문제에 대한 여러 가지 ‘모범 답안’을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그 문제를 둘러싼 다양한 논쟁을 스스로 경험하고 판단하며 비판적 자세, 균형감 있는 생각 등을 배우도록 하는 데 있습니다.

정치∙역사 교육의 원칙에서 독일 교육의 기본 가치로

‘사회적 쟁점’이나 ‘사회 문제’가 자주 등장하는 이유는 보이텔스바흐 협약이 애초에는 학교 구성원들이 지키고 따라야 할 ‘정치역사 교육’을 위한 기본 원칙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후 모든 공교육 영역으로 확대되면서 독일 교육의 기본 가치로 기능하게 됩니다. 단지 특정 과목을 가르치고 배우는 원칙만이 아닌 전반적인 교육의 목표가 된 것입니다. 토론이니 논쟁이니 하는 것을 알 까닭이 없는 아주 어린아이 때부터 모든 상황에 직접 참여하고 생각하고 판단하면서 스스로 교육의 주체가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