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에 대한 강의, 학부모 상담 등을 하다 보면 의외로 많이 받는 질문 중 하나가 '쓰기'에 관한 것입니다. 토론과 글쓰기는 당연히 밀접한 관계가 있으니 그 질문이 전혀 이상할 리 없지만, 그럴 때마다 저는 어쩔 수 없이 떠올리는 생각이 있어요. 우리 교육에서는 '독서 토론 논술'이 마치 하나의 덩어리로 묶여 있는 것처럼 여겨지는 것 같다는 것인데요. 영국의 철학자 프랜시스 베이컨이 말하기를 "독서는 지식이 충만한 사람을, 토론은 준비된 사람을, 글쓰기는 정확한 사람을 만든다"고 했는데 이 세 가지를 한번에 할 수 있다면야 더 이상 뭘 바라겠어요! 하지만 현실은 그렇게 간단치 않습니다. 독서(읽기)는 독서대로, 토론은 토론대로, 쓰기는 또 쓰기대로 갈 길이 험난하죠. 그 중에서도 '쓰기'는 특히 아이들에게는 가장 고난도의 영역이 아닌가 싶습니다.
쓰기에 대한 질문은 누구나 예상할 수 있는대로 '우리 아이가 쓰는 걸 별로 좋아하지 않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입니다. 사실 이런 고민은 제가 부모님들의 목소리를 통해 전해 듣지 않아도 너무 잘 아는 것이, 현재 수업 중인 아이들이 모두 '쓰기'를 안 좋아합니다. 숙제를 내주면 어쩔 수 없이 해오기는 하는데, 아이들 표정이나 결과물을 받아보면 '마지못해 했구나'라는 느낌을 받을 때가 많죠. 때문에 매번 새로운 방식을 고민하고 어떻게 하면 조금 더 편하고 재밌게 쓰도록 유도할 지를 고민하고 때로는 가이드가 될 만한 '보기 글'을 제시해주기도 하는데, 그 효과가 한번에 두드러지지는 않습니다. 토론과 마찬가지로 쓰기 역시 긴 시간과의 싸움이 필요한 영역인 것이죠.
그런데도 우리는 아이들에게 쓰기 교육을 해야만 합니다. 글을 잘 쓴다는 것이 특정 전공이나 직업군에게만 해당되는 능력이었던 시절과 달리 이제는 누구에게나 보편적으로 필요한 능력이 되었기 때문이죠. 실제로 글을 잘 쓴다는 건 굉장한 경쟁력입니다. 내 안에 아무리 좋은 의견과 창의적인 생각들이 차고 넘친다 한들 그것을 제대로 표현해내지 못한다면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말로 드러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글은 훨씬 더 정교하고 정제된 형태라는 점에서 생각과 의견을 꺼내어 보이기에 더없이 훌륭한 수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