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전!> 교육감 선거 연령 하향 찬반 토론 "교육 주체 의견 반영돼야 vs 교실 정치화 안돼"
얼마 전 서울시 교육감 보궐선거가 치러졌는데요, 낮은 투표율로 인해 교육감 선거제 자체에 대한 논란이 다시 일고 있어요. 제도 개선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나오는 가운데 오래된 논쟁거리 중 하나인 교육감 선거 연령 하향에 대해 찬반 토론을 진행해 보았습니다.
토론 자료
📰 추가 자료_학생들이 교육감 뽑는다?…선거권 ‘만 16세 하향’ 논란
토론 난이도
난이도 상. 초등 5~6학년 이상
기대 효과
📍 선거제도에 대한 이해
📍 선거권, 피선거권에 대한 이해
📍 참정권의 의미와 사회적 책임에 대한 고찰
📍 청소년의 정치 참여 확대가 사회에 끼치는 영향
토론 실전
1.내용을 공유합니다.
- 교육감 선거 저조한 투표율, 직선제 폐지 논란
최근 치러진 서울시교육감 보궐선거의 투표율이 23.5%로 저조하게 나타나면서 직선제 폐지 등 교육감 선거를 둘러싼 논란이 다시 일고 있습니다. 막대한 선거 비용에도 불구하고 주민 대표성이 부족하기 때문인데요, 2026년 6월 예정된 전국 교육감 선거를 앞두고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유독 낮은 투표율의 이유로는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이해당사자 축소, 후보와 정책에 대한 정보 부족 등이 꼽히는데요, 일부 전문가들은 2007년 직선제가 도입된 이후 유권자들의 무관심과 정치적 노선에 따른 표 분산 문제를 지적하며, 간선제나 러닝메이트제 도입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 러닝메이트도 문제, 선거 방식 보완 주장도
반대로 러닝메이트제가 교육의 자주성과 전문성을 해칠 우려가 있다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어요. 이에 따라 직선제를 유지하되 선거 방식을 보완하자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는데요, 학부모와 교사, 학생 등 교육 관련 이해당사자들만 투표에 참여하는 '제한적 직선제' 도입 또는 교육감 선거에 한해 현행 만 18세 이상인 선거 연령을 낮추는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어요. 일각에서는 지방자치단체별로 교육감 선출 방식을 논의하고 주민 의견을 반영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하기도 합니다.
- 교육감 선거권 둘러싼 오래된 찬반 논쟁
교육감 선거권 연령을 만 16세로 하향해야 한다는 주장은 오래 전부터 제기된 논쟁거리입니다. 또다시 불이 붙은 계기는 지난 2021년 관련 법안이 제출되면서입니다. 당시 법안을 제출한 국회의원은 학교 교육의 가장 중요한 주체이자 당사자인 학생이 교육감 선거에 참여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라고 강조했으며, 일부 학교 현장에서는 학생이 자기 의사를 밝힐 수 있게 하면 교육 정책이 학생을 위한 정책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어요. 반면 반대 의견도 작지 않았는데요, 특히 교사의 80% 이상은 16세로 하향하는 것에 반대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반대의 이유로는 학생 표를 의식한 인기 영합주의 정책, 교실의 정치화 등이 거론됐습니다.
✅ 직선제 : 국민이 직접 대표를 뽑는 제도
✅ 간선제 : 일정 수의 선거인단을 구성해 그들에게 대표를 뽑게 하는 제도
✅ 선거권 : 대통령, 국회의원, 지방의회의원 등 각종 공직 선거의 선거인단으로 투표할 수 있는 국민의 기본권
✅ 피선거권 : 선거에 의해 대통령, 국회의원, 지방의회의원 등 국가기관의 구성원으로 선출될 수 있는 국민의 기본권
📌 선거권 연령 : 우리나라는 현재 만 18세 이상에 선거권을 부여하고 있어요. 2019년 12월,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선거 연령이 현행 18세로 낮아진 것으로, 그 이전에는 선거권 연령은 만 19세였어요.
📌 피선거권 연령 :
✔ 대통령은 40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민으로 선거일 현재 5년 이상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국민.
✔ 국회의원, 지방의회 및 지방자치단체장은 2021년 법 개정 이후 만 18세 이상으로 피선거권 연령이 하향됐으며, 그 이전까지는 만 25세 이상이었어요.
2. 질문으로 생각을 열어주세요.
Q. 교육감 선거 투표율이 낮은 이유는 무엇일까?
Q. 교육감 선거가 다른 선거와 다른 점은 무엇이며, 교육감 선거권 연령을 낮추자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는 무엇일까?
Q. 교육감을 선출하는 데 있어 학생 당사자들의 의견은 중요할까? 청소년들이 교육감 선거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무엇일까?
Q. 만 16세 이상의 청소년들이 교육감 선거권을 갖는다면 실질적으로 교육계에 어떤 변화가 있을까?
Q. 교육감 선거 연령 하향은 사회적으로 어떤 영향을 끼칠까?
Q. 청소년들의 정치에 대한 이해, 그리고 정확한 판단을 위한 성숙도와 책임감은 충분한가?
Q. 교육감 선거 연령을 만 16세로 낮추는 것에 대해 많은 학부모, 교사들이 반대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Q. 만 16세 청소년들이 교육감 선거권을 갖기 위해 필요한 정보나 교육은 어떤 게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