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론 실전!> 전단 살포 금지, 확성기 철거, 대북방송 중단... 대북 유화 정책 득실은?
대북 확성기 방송 중단에 이은 확성기 철거 단행, 대북 전단 살포 금지 입법 등 정부와 여당의 대북 유화 조치들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남북 긴장 해소 및 평화를 위해 필요하다는 입장과 신중론이 동시에 제기되고 있는데요, 찬반 토론으로 정리했습니다.
토론 자료

📰추가 자료_與 ‘대북전단 금지’ 입법 드라이브…위헌 결정 넘을까? (2025년 7월 9일자, 중앙일보)
토론 난이도
난이도 중상, 초등학교 고학년 이상
기대 효과
📍 국가 안보와 평화 사이의 균형에 대한 고찰
📍 남북 관계 변화의 흐름과 대북 정책이 국민에게 미치는 영향
📍 '심리전'의 필요성과 부작용에 대한 고민
📍 법적 제재와 자율적 절제의 장단점
📍 한반도의 지정학적 리스크와 평화를 위한 노력
토론 실전
1.내용을 공유합니다.
- 대북 확성기 방송 중단 이어 철거까지
최근 우리 정부는 대북 심리전 수단의 전면적 중단을 단행했어요. 지난 6월 대북 확성기 방송을 전격 중단한 데 이어, 8월 초에는 우리 군이 접경지역 고정식 대북 확성기 20여 대를 철거했는데요, 국방부는 "군 대비태세에 영향이 없는 범위에서 긴장 완화에 도움이 되는 조치"라고 설명했습니다. 2018년 4월 판문점 선언으로 멈췄던 대북 확성기 방송은 지난해 6월 윤석열 정부가 북한의 오물 풍선 살포에 대응하며 6년 만에 전면 재개됐어요. 북한도 이에 대한 맞대응으로 대남 소음방송을 시작했는데요, 쇠를 긁는 듯한 소리, 귀신 곡성 등 기괴한 소음을 내보내 접경지역 거주민들이 소음 피해를 호소해 왔습니다.
- 대북 전단 살포 금지법 처리도 최우선 과제
대북 확성기 철거 외에도 이재명 정부는 출범 후 민간 단체에 대한 대북전단 살포 자제 요청, 국가정보원의 대북 라디오 및 TV 송출 중단 등 북측과 신뢰를 회복하고 대화 채널을 복원하기 위한 다양한 메시지를 전파해오고 있어요. 50여 년간 유지해온 라디오, TV 대북 방송을 중단했고, 대북 전단 살포 금지법도 속도를 내고 있어요. 과거 헌법재판소가 전단 살포 전면 금지법을 표현의 자유 침해라며 위헌으로 판단한 바 있어, 우회적 제재 방식을 통해 대북 전단 살포를 원천적으로 막는 법안을 처리할 방침입니다. 민주당은 남북 관계 신뢰 회복과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정부의 강력한 의지에 따라 이를 정권 초기 최우선 과제로 추진 중이에요. 이에 대해 야당인 국민의힘은 신중론을 제기하고 있는데요, 표현의 자유 침해라는 헌재의 판결이 있는 만큼 법적 금지보다 자율적 절제가 바람직하다고 주장하고 있어요.
'판문점 선언'은 2018년 4월 27일 남북정상회담에서 발표된 공동 선언으로,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 체제 구축을 목표로 했습니다. 남북은 종전선언 추진과 군사적 긴장 완화, 단계적 군축에 합의했으며, 정기 회담과 직통 전화로 신뢰를 강화하기로 했으며, 또한 남북 관계 발전과 평화, 번영, 통일을 위한 협력을 약속했어요.
'9.19 군사합의'는 2018년 9월 평양 남북정상회담에서 체결된 군사 분야 합의서로, 판문점 선언이 구체화된 조치입니다. 이 합의는 군사적 충돌 방지와 신뢰 구축을 위해 비무장지대 내 감시초소 철수, 비행금지구역 설정, 군사연락망 복원 등을 포함했습니다. 남북은 이를 통해 한반도 긴장 완화와 평화 정착을 구체적으로 실행에 옮기고자 했죠.
그러나 2023년 11월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 직후, 우리 정부는 9.19 합의 일부 효력 정지를 발표했습니다. 군사분계선 인근에서의 대북 정찰 활동 제한을 풀고 군사 대비 태세를 강화한 것이죠. 그러자 북한은 이에 반발해 9.19 합의 전면 파기를 선언했고, 2024년 6월 우리 정부 또한 전면 효력 정지를 단행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