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다룰 뉴스는?
“똑똑하고 병 없는 아기로요”…유전자 골라 낳는다는 ‘수퍼베이비’ 논란
똑똑하고 병 없는 아기로요유전자 골라 낳는다는 수퍼베이비 논란
  • 무슨 일? 미국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 ‘오키드헬스’가 배아 유전체 검사 기술을 통해 수천 가지 질병 위험을 예측하고, 유전적으로 더 ‘우수한’ 아이를 선택해 출산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슈퍼베이비’ 논란이 일고 있음. 이 서비스가 부유층을 중심으로 확산하면서 현대판 '우생학'이라는 비판이 제기됨.
  • 배아 유전체 검사 기술이란? 배아에서 채취한 5개의 세포만으로 전체 유전체(30억 염기쌍)를 시퀀싱(DNA의 염기 배열 분석)해 조현병, 알츠하이머, 비만 등 1200여 가지 질병 발병 가능성을 점수화할 수 있다는 게 오키드헬스의 주장. 이 데이터를 통해 아이를 선별해 낳을 수 있는 셈.  
  • 누가 이용? 현재는 시험관 시술을 받는 고소득층 부부들이 주로 이용. 일론 머스크와 전 뉴럴링크 임원 시본 질리스가 낳은 자녀 중 일부가 해당 기술로 태어났다는 얘기도 있음. 오키드헬스 창업자는 "아기는 배아 스크리닝으로 고르는 시대"라며 자신 또한 이 기술을 활용해 자녀를 낳을 계획이라고 밝히기도. 또한 오키드헬스 측은 이 기술이 부모들의 유전 질환에 대한 불안감을 줄여 출산을 장려할 수 있다고 주장.
  • 걱정과 논란? 이 스타트업의 검사 비용은 배아 하나 당 2500달러, 시험관 시술 1회 평균 비용은 2만 달러(약 2800만 원)으로 부유한 계층이 유전적으로 더 뛰어난 아이를 골라 세상에 태어나게 하는 세상이 될 수 있다는 윤리적 우려. 오키드헬스는 "지능 예측은 하지 않는다"는 입장이지만, 머스크를 비롯해 일부 커플에게는 비공식적으로 지능 관련 정보 제공한 사실이 있다고 밝히기도.
  • 전문가 반응? 미국 임신협회는 이 기술에 대해 "단순 예측이 아닌 인간 배아의 미래를 조작하는 것"이라고 지적. 학자들 역시 "건강을 위한 선택을 넘어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킬 가능성"에 대한 우려는 물론 수많은 오류 가능성과 그로 인한 잘못된 유전자 정보에 따른 선택이 끼칠 위험성에 대해 경고하기도.
  • 산업계 분위기? 윤리 논란과 과학적 비판에도 불구하고 투자 열기는 계속되고 있음. 오키드헬스는 지난해 말 1200만 달러(약 167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고, 유사 기업들도 잇따라 억대 투자를 유치 중.
🎬
유전자 선별 사회를 다룬 영화 '가타카(GATTACA)'?

1997년작인 '가타카'는 유전자 선별 사회를 배경으로 한 SF 스릴러. 유전자 조작을 통해 '완벽한 아이'를 선택하는 이들이 사회의 상층부를 이루고, 자연 출생자는 열등한 존재로 취급받아 사회 하층부로 밀려나는 미래 사회의 이야기로, 선천적 약점을 가진 자연 출생자인 주인공이 우주 비행사의 꿈을 이루기 위해 유전자가 우수한 사람의 신분을 빌려 사회적 장벽에 도전하는 내용. 우생학적 사회의 비인간성을 비판하고, 인간의 가능성과 존엄성을 되새기게 하는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