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이 한 명도 없는 K팝 그룹들이 늘어나는 등 K팝의 세계화 흐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K' 빠진 K팝이라는 지적이 있는가 하면, K팝의 기준은 국적이나 언어가 아닌 자본과 제작 주체라는 설명도 있습니다. 여러분이 생각하는 K팝의 정의는 무엇인가요?
폭염 속에 치러진 파리 올림픽이 폐막한 가운데 앞으로 기후 변화로 인해 하계 올림픽을 치를 도시가 줄어든다는 분석이 제기됐습니다. 지구온난화는 올림픽의 미래를 어떻게 변화시킬까요?
서울대학교발전재단에서 서울대 구성원들에게 서울대 가족임을 인증하는 차량 스티커를 발부하면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학벌주의를 부추기는 행위'라는 비판과 '소속감 나타내는 흔한 일'이라는 입장이 엇갈리는데요, 여러분 생각은 어떠한가요?
환경부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전국에 14개의 댐을 건설할 계획을 밝혔습니다. 환경 훼손을 걱정하는 환경단체의 반발과 일부 지역 주민들의 반발도 거센 상황인데요, 댐은 무엇이고 기후 위기 대응에 어떤 식으로 작동하는지 생각해볼까요?
의사는 AI가 대체할 대표적 직업으로 거론되는 직종 중 하나인데요, 최근 로봇 스스로 치과 시술에 성공한 사례가 보도돼 화제입니다.
전기차 화재 사건 발생 이후 관련 논쟁이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지하주차장 출입을 둘러싸고 주민들 간 갈등이 심각한 사례도 있는데요, 어떻게 해결하는 게 좋을까요?
전통을 깨고 폐회식에서 여자 마라톤 단독 시상을 하는 등 '성평등'을 지향한 2024 파리올림픽에서 성별 논쟁이 뜨겁게 일었습니다. XY 염색체를 가진 여자 복서 2명이 그 주인공인데요, 스포츠계에서는 오래 전부터 논쟁거리였던 성별 논란을 살펴봤습니다.
사적제재 논란을 일으켰던 사이버 레커들이 이번엔 유튜브 규제론의 핵심에 있습니다. 방송법 규제를 받지 않아 사실상 규제 사각지대였던 유튜브, 심의와 제재가 필요할까요?
외신이 보도한 한국 부모들의 자녀를 위한 명품 소비 실태가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사치품 소비의 양면에 대해 생각해 보고, 건강하고 바른 소비에 대해 논의해 보시길.
길거리를 떠도는 개와 고양이에게 관대했던 튀르키예에서 떠돌이 개를 안락시키는 법안이 통과돼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사람의 안전이 위협 받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이뤄진 조치인데요, 동물단체 및 시민들의 반발이 거셉니다.
부모님들에게 뼈아픈 교훈이 될 만한 뉴스네요.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 문제로 고민하는 분이라면 먼저 스스로를 돌아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자녀의 문해력, 어휘력 문제로 고민하는 부모님들 많으시죠? 같은 문제를 오래 고민하고 나름의 방식을 통해 답을 찾고 있는 필자의 경험을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