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otherThinkingLab 어나더씽킹랩

Thoughts + Education, 토론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교육 실험

아이와 부모가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교육을 지향합니다

AnotherThinkingLab 어나더씽킹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엄마표 뉴스브리핑> 2024년 8월 ① 로봇 치과의사가 탄생했다고?

의사는 AI가 대체할 대표적 직업으로 거론되는 직종 중 하나인데요, 최근 로봇 스스로 치과 시술에 성공한 사례가 보도돼 화제입니다.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엄마표 뉴스브리핑> 2024년 8월 ① 전기차 포비아 확산, 지하 주차장 출입 금지해야 한다?

전기차 화재 사건 발생 이후 관련 논쟁이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지하주차장 출입을 둘러싸고 주민들 간 갈등이 심각한 사례도 있는데요, 어떻게 해결하는 게 좋을까요?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알쓸뉴스> XY인 여자, XX 남자가 있다? 올림픽이 쏘아올린 '성별' 논쟁 (+간성, 그들은 누구?)

전통을 깨고 폐회식에서 여자 마라톤 단독 시상을 하는 등 '성평등'을 지향한 2024 파리올림픽에서 성별 논쟁이 뜨겁게 일었습니다. XY 염색체를 가진 여자 복서 2명이 그 주인공인데요, 스포츠계에서는 오래 전부터 논쟁거리였던 성별 논란을 살펴봤습니다.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토론 실전!> 유튜브 콘텐츠 규제 '법적으로 규제해야 한다 vs 자율 규제하면 된다'

사적제재 논란을 일으켰던 사이버 레커들이 이번엔 유튜브 규제론의 핵심에 있습니다. 방송법 규제를 받지 않아 사실상 규제 사각지대였던 유튜브, 심의와 제재가 필요할까요?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엄마표 뉴스브리핑> 2024년 7월 ② "몽클레어 패딩 교복", 아동 명품 소비 늘어나는 한국?

외신이 보도한 한국 부모들의 자녀를 위한 명품 소비 실태가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사치품 소비의 양면에 대해 생각해 보고, 건강하고 바른 소비에 대해 논의해 보시길.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엄마표 뉴스브리핑> 2024년 7월 ② '떠돌이 개 안락사법' 어떻게 생각해?

길거리를 떠도는 개와 고양이에게 관대했던 튀르키예에서 떠돌이 개를 안락시키는 법안이 통과돼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사람의 안전이 위협 받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이뤄진 조치인데요, 동물단체 및 시민들의 반발이 거셉니다.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엄마표 뉴스브리핑> 2024년 7월 ② 스마트폰 중독, 자녀에게 대물림 된다고?

부모님들에게 뼈아픈 교훈이 될 만한 뉴스네요.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 문제로 고민하는 분이라면 먼저 스스로를 돌아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공감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모국어는 한국어, 가장 편한 언어는 영어, 교육 받는 언어는 독일어인 중학생 아이의 '우리말' 어휘력, 이렇게 키우고 있어요

자녀의 문해력, 어휘력 문제로 고민하는 부모님들 많으시죠? 같은 문제를 오래 고민하고 나름의 방식을 통해 답을 찾고 있는 필자의 경험을 공유합니다.

한 줄 토론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오늘의 질문> 올림픽 같은 스포츠 축제는 왜 필요할까?

2024 파리올림픽의 서막이 올랐습니다. 올림픽은 단순히 축제 그 이상 전 세계인들에게 끼치는 영향이 적지 않은데요, 올림픽 같은 국제 스포츠 축제는 왜 필요하고,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교훈은 무엇일까요?

토론랩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알쓸뉴스> '에어컨 없고, 경기장 안 짓고, 채식 늘려 탄소 배출량 줄인다?' 2024 파리 올림픽의 '친환경 실험' 성공할까?

2024 파리올림픽이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이번 올림픽은 유난히 시끄러운데요, 파리올림픽 조직위원회의 친환경 선언과 더불어 시행되는 다양한 실험들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엄마표 뉴스브리핑> 2024년 7월 ① 북촌 한옥마을 관광객 통행 제한한다고? (+덴마크의 그린 관광 실험?)

전 세계가 오버 투어리즘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닙니다. 북촌 한옥마을은 국내 최초로 '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됐습니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엄마표 뉴스브리핑> 2024년 7월 ① 지구 온난화 때문에 하루의 길이가 길어졌다고?

기후 변화로 인한 지구 온난화의 영향은 도대체 어디까지일까요? 극지방의 빙하가 녹으면서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하루 길이가 길어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