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 교과를 둘러싼 논란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지난 4월 말 국가교육위원회(국교위)가 초등학교 1~2학년에 체육 과목을 신설하겠다고 발표했기 때문입니다. 물론 그동안에도 초등 1,2학년 대상 체육 활동이 없었던 건 아닙니다. 음악, 미술과 함께 <즐거운 생활>이라는 통합 교과 안에 포함돼 있었을 뿐이죠. 체육이 단독 교과로 되는 건 1989년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니, 교과서 개발 등에 들어가는 2~3년의 준비 기간을 감안하면 거의 40년 만에 단독 교과가 되는 셈입니다.
이 같은 결정을 내린 데는 학생들의 신체 활동이 부족하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교육부 발표에 따르면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비만과 과체중 비중은 2017년 23.9%에서 2023년 29.6%로 5.7%포인트 높아졌다고 해요. 초등생으로 한정하면 같은 기간 동안 무려 7.8%포인트가 올라 22.5%에서 30.3%가 됐고요. 더구나 코로나 19를 거치면서 아동 및 청소년의 비만 및 체력 저하는 더욱 심화돼 신체 활동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꼭 비만이나 과체중이 아니라 해도 '운동 부족' 문제가 심각하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고요. 따라서 현재 <즐거운 생활> 교과로 통합돼 학교나 교사에 따라 신체 활동이 제각각인 문제를 체육 교과 분리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취지인 겁니다.
초등학교 1~2학년 체육 교과 분리에 대해 학부모들은 대체로 환영하는 분위기라고 합니다. 학교 체육이 강화된다면 운동 부족 등을 결국 사교육으로 해결해야 하는 부담을 조금은 덜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요.
그런데 교사들 입장은 다릅니다. 초등교사노동조합이 초등교사 7013명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의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98%가 체육 교과 분리에 대해 "합리적이지 않다"고 답했다고 하죠. 그 이유로는 '충분한 논의와 협의가 없었다'는 점이 꼽혔고요. 안전 사고 발생 시 교사가 책임져야 한다는 부담감, 체육 수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사소한 문제 등을 둘러싸고 다양한 학부모 민원이 제기될 수 있다는 점 등도 98%의 초등교사들이 체육 과목의 부활을 반대하는 이유로 제기됩니다. 체육이 필요하다는 건 공감해도 필요한 시설이나 인력 확충이 먼저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어요. (참고 자료_'선크림 공지' 안 하면 학대?…교사 98% "초 1∙2 체육 부활 반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