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기획 시리즈 : 한국 부모가 경험한 생생한 독일 교육 현장> (2) "하나를 배워도 생각하고 토론하며 깊이를 채우는 방식이 열린 사고를 만들죠"

<인터뷰 기획 시리즈 : 한국 부모가 경험한 생생한 독일 교육 현장> (2) "하나를 배워도 생각하고 토론하며 깊이를 채우는 방식이 열린 사고를 만들죠"

한국 교육을 받고 성장한 한국 부모님들은 독일 교육을 받고 자라는 자녀들을 보면서 어떤 생각을 할까요? 자신의 경험과 자녀의 경험을 통해 한국 교육과 독일 교육 양쪽 모두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부모님들의 목소리로 생생한 독일 교육 현장에 대해 들어보고자 합니다. 현재를 기준으로 한국, 독일, 싱가포르에서 자녀들에게 '독일 교육'을 시키고 있는 부모님 3인의 인터뷰를 3회에 걸쳐 연재합니다.

anotherthinking

<편집자 주>

독일 교육과 한국 교육은 어떤 면에선 극과 극의 지점에 서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독일은 답답할 정도로 느리고 천천히 가는 과정을 지향합니다. 교육이라는 목표 하에서도 아이들과 청소년들의 행복은 절대 침해할 수 없습니다. 뛰어난 몇 명을 위한 교육이기 보다 모두를 이끌고 가는 교육이 핵심이고요.

한국은 놀라울 정도로 빠릅니다. 남들보다 더 빨라야 하기 때문에 선행 학습은 해가 갈수록 그 연령이 낮아지고 있습니다. 교육이라는 목표와 목적 앞에서는 아이들과 청소년들의 행복은 잠시 유보되어야 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한국의 교육 수준은 탑입니다. 모두를 위한 교육이기 보다는 뛰어난 인재를 양성하고 배출하는 엘리트 교육을 지향하죠.

이와 같은 상반된 지점 때문에 누군가는 독일식 교육을 '유토피아'처럼 높이 평가하고, 또 누군가는 '평준화 교육'이라며 지적하기도 합니다.

아무리 강점을 높이 평가한다 하더라도 독일 교육이 절대 유토피아일 수만은 없습니다. 각자가 생각하는 교육의 방향과 목표에 따라 어떤 점은 긍정적이고 어떤 점은 비판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어나더씽킹랩이 '한국 부모가 경험한 생생한 독일 교육 현장' 인터뷰 시리즈를 기획하게 된 데는 위와 같은 배경이 깔려 있습니다. 같은 독일 교육이라 해도 독일인들이 느끼는 지점과 한국 교육을 받고 자란 한국 부모가 느끼는 지점은 전혀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독일 교육을 바라보는 객관적 시선이나 평가가 아니라 우리의 시각, 우리의 평가를 통해 얻어내는 '결론'이 중요합니다. 우리가 다른 나라의 교육 방식이나 시스템을 공부하는 이유는 단순한 호기심에서가 아니라 우리에게 도움이 될 무언가를 얻고자 하는 것이니까요.

한국에서 나고, 한국 교육을 받으며 성장했지만 자녀들은 독일 교육을 받고 있는 3인의 부모님을 인터뷰했습니다. 한국과 독일, 양쪽의 교육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입장에서 독일 교육을 어떻게 바라보는지, 장단점은 무엇인지, 우리에게 시사하는 점은 무엇인지 등을 들어볼 수 있는 소중한 기회였습니다.

** 여기서 말하는 한국 교육과 독일 교육이라 함은 반드시 공교육 만을 두고 말하는 것은 아니며, 전반적인 교육 방향을 발하는 것입니다. 또한 독일은 주마다 다른 교육 정책을 펴고 있으며 교육 방식이나 수준, 경쟁력도 천차만별입니다. 일반적으로 뮌헨이 있는 바이에른 주의 교육 수준과 경쟁력이 높은 편입니다.

이번 인터뷰에 참여한 3인의 학부모님은 현재 각각 서울, 뮌헨(독일), 싱가포르에서 '독일 교육'을 시키고 있으며,

서울과 싱가포르는 독일 튀링겐 주의 교육 방식을 따른 '독일 학교'로 독일 현지의 일반적 공립 학교보다 높은 수준임을 밝힙니다. 독일 밖 다른 나라에 있는 '독일 학교'는 대부분 튀링겐 주의 교육 정책을 따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인터뷰-두 번째>

싱가포르에서 '독일 학교'에 자녀들을 보내고 있는 김유진 님

Q) 본인 소개를 부탁 드려요.

한국에서 태어나 초/중/고/대학까지 졸업했어요. 한국에서 IR 관련 일을 6년 했고 결혼 후 독일로 이주했습니다. 독일에서 8년, 미국에서 4년, 다시 한국에서 5년을 보낸 뒤, 지금 현재 싱가포르에 살고 있어요. 독일 국제 학교에 다니는 8학년 아들과 6학년 딸을 두고 있습니다.

Q) 아이들이 독일 교육을 받는 것을 지켜 보면서 느끼는 한국 교육과 독일 교육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가장 큰 차이는 아이들이 지나친 강요를 받지 않으면서 공부를 하는 것입니다. 독일 교육은 진도가 천천히 나가는 것 같아요. 특히 초등학교(4학년)때까지는 더 그렇습니다. 잘하는 아이들이 지루할 수는 있겠지만 일반 아이들은 충분히 이해를 하며 배울 수 있는 속도예요.
또, 가만히 앉아서 듣는 일방적인 수업보다는 아이들이 직접 탐구하고 조사하고 발표하는 수업을 많이 합니다. 그래서 인지 재미있으면서도 깊이 있게 배운다는 생각이 들어요. 배우는 양은 한국 교육보다 절대적으로 적을 것 같은데 하나를 이해하더라도 폭넓게, 그리고 개성에 맞게 다양하게 배울 수 있습니다. 바로 그런 방식 덕분에 가르쳐준 대로 한 가지 방식으로만 공부하는 게 아니라 열린 사고를 하는 데 큰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Q) 주변에 한국 교육을 받는 아이들을 보면서 느끼는 바가 있다면 무엇인가요?

솔직히 한국 교육을 받는 또래의 아이들을 많이 보지는 못한 편입니다. 한국에 처음 왔을 때 눈에 띄었던 점이 있는데요, 이를 테면 공공장소나 레스토랑 같은 곳에서 한국 가족들을 볼 때, 서로 대화하는 모습을 보기가 어려웠어요. 어린 아이들에게는 태블릿을 손에 쥐어주거나 핸드폰을 보여주는 식으로 떠들지 못하게 하더라고요. 남을 방해하지 않게 하려는 의도인 것 같았어요.
제가 본 독일의 많은 아이들은 식사 시간은 물론이고 일상 속에서 여유를 갖고 대화를 많이 하는 편입니다. 그래서 무언가 질문을 했을 때 자기 생각을 스스럼없이 말할 수 있고 또 다양한 대답을 하는 것 같아요. 그건 바로 생각하는 훈련이 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데요, 거기 비춰 봤을 때 한국 교육은 생각하는 훈련과는 좀 거리가 있는 방식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Q) 독일의 교육 방식에 대체로 만족하시는 편인가요?

저는 학창 시절에 강요에 의해, 해야만 하는 공부를 했던 세대였잖아요. 탐구라기 보다는 암기를 많이 했죠. 책상 앞에서 공부한 시간이 엄청 많았는데도 불구하고 막상 어른이 된 후에는 머리에 남아있는 역사 지식이나 상식이 별로 없다는 생각을 했어요. 제 아이들을 보면 확실히 다릅니다. 제가 아이들 나이에 생각하지 못했을 환경 문제에 대해서도 얼마든지 토론할 수 있고, 배웠던 역사에 대한 내용도 설명을 아주 잘 합니다. 그렇다고 제가 공부를 강요하거나 시키는 것도 아닌데 스스로  그렇게 하는 거죠. 아마도 즐겁게 배우는 환경이 결과적으로 많이 배우게 되는 효과를 내는 것 같아요.
학교에서도 숙제나 공부를 많이 시키지 않으니 방과 후에는 놀 시간도 참 많습니다. 그 시간 동안  놀면서 자기가 좋아하는 것들을 찾을 수 있다는 점이 좋다고 생각해요. 제 경우를 돌아 보면 어릴 때 뭘 좋아하는지 잘 알지 못했던 것 같거든요. 그랬기 때문에 어른이 되어서 좋아하는 것을 찾느라 더 힘든 시간을 보내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어렸을 때 스스로 좋아하는 것을 찾고 발견할 수 있다면 대학에 진학할 때 전공 선택도 훨씬 더 잘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바로 이런 점들이 제가 독일 교육 방식에 대체로 만족하는 이유들입니다.
"즐겁게 배우는 환경이 결과적으로 많이 배우게 되는 효과를 내는 것 같아요." (사진은 인터뷰이와 무관)

Q) 독일 교육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위의 답변과 중복되는 지점도 있는데요, 천천히 배우고, 깊이 배우고, 토론식, 발표식 교육을 받는 다는 것입니다. 그 중에서 토론식 교육이 가장 큰 장점일 것 같아요. 토론을 잘 하기 위해서는 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해야 하고, 남의 의견을 경청해야 하고, 자신의 생각과 의견도 논리적이고 조리 있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하니 종합적인 사고 훈련이자 훌륭한 교육 방식이 아닐 수 없죠. 특히 우리가 세상을 살아가면서 경청, 이해, 자기 표현 등은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항목이기 때문에 더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Q) 학부모로서 독일의 교육 방식에 불만이나 개선해야 할 점이 있다면 어떤 점인가요?

독일 학교는 대부분 4~5 학년에 김나지움(대학 진학을 위한 인문계 학교)에 갈 아이인지 실업계 교육을 받을 아이인지를 구분합니다. 그런데 사실 4~5학년은 그와 같은 결정을 내리기엔 굉장히 이른 나이라고 생각해요. 아이들은 다 성장 속도도 다르고 성향도 다르잖아요. 어떤 아이는 어릴 때 발달이 더딜 수도 있는데 그런 개인 차가 반영되지 않는 점이 아쉽습니다. 개인적으로 아이들이 조금 더 자란 후에 진학 과정을 정하는 게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독일 현지가 아닌 해외에 있는 독일 학교들은 같은 맥락에서 좀 다른 문제점을 갖고 있습니다. 학생 수가 적다는 이유로 학년이 올라가도 김나지움과 실업계 학교를 갈 아이들이 모두 같은 반에서 수업을 받게 되는 것이죠.  물론 김나지움 진학이 어려운 친구들은 같은 반에 있더라도 더 쉬운 과제를 받는 식으로 구분된 학습을 하긴 하는데, 각자 성적에 따른 수준에 맞춰 제대로 된 교육이 진행되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Q) 독일 교육 중 저 학년 교육 방식과 고 학년 교육 방식의 차이가 있다면 무엇인가요?

저 학년 아이들은 수업 템포가 꽤 느린 편이고요, 5~6학년부터 시작되는 김나지움에 들어가면 갑자기 속도가 빨라집니다. 대학생처럼 과목 별로 선생님이 다르고, 또 해당 교실을 찾아다니며 수업을 받습니다. 그래서 학년 초기에는 아이들이 적응 하는 시간이 필요하죠.
저희 아이들의 경우 현재 6학년과 8학년이기 때문에 고 학년의 방식에 대한 제 의견에 한계가 있긴 합니다만,  고 학년의 교육에서는 독일어의 경우 문법 수업이 더 강화되고, 책을 읽고 요약 분석하는 내용도 들어갑니다. 8학년의 경우에는 주제를 선택하여 디베이트(Debate) 논쟁을 하는 수업도 과정에 포함돼 있습니다. 제가 대학교에 들어가서야 하던 것들을 아이들은 미리 훈련 받고 있는 셈이죠.
6학년부터는 영어 이외의 제 2 외국어도 선택해서 배웁니다. 또 과학 수업이 영어로 진행되는 경우도 있다고 하는데, 이런 방식을 통해 다양한 언어로 수업을 듣다 보면 암기식 외국어 교육 그 이상의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에 더 좋은 것 같아요.

Q) 아이들 스스로는 독일식 교육에 만족하나요?

저희 아이들은 스트레스가 많이 없어서 행복한 것 같아요. 한국에 살 때 학교가 끝나면 여러 학원에 다녀야 하는 친구들 얘기를 들었기 때문에 일주일에 운동 수업 하나 정도만 다녔던 아이들은 자유 시간이 많아 무척 행복해 했죠.
일화가 있는데요. 한국어 교육도 시킬 겸 아이들이 4학년, 2학년일 때 피아노 학원에 보낸 적이 있어요. 아이들이 싫다고 했는데도 '기본 교양 차원'이라며 순전히 제 의지대로 1년을 보낸 거였죠. 결과적으로 실력은 늘지 않았고 아이들은 피아노를 싫어하게 됐어요. 결국 학원을 그만두었습니다. 한참 지난 후, 둘째 아이가 5학년이 됐을 때 갑자기 피아노를 배우고 싶다고 하더라고요. 본인이 원한 시기에 배우는 피아노는 다른 아이들보다 속도가 훨씬 빨랐고 아이도 무척 즐거워 했어요.
피아노 일화처럼 독일 교육이 그런 방식이에요. 내가 부모로서 원하지 않으면 강요하지 않아도 됩니다. 한국 교육은 부모로서 원하지 않더라도 학교 진도가 너무 빠르다는 이유로, 학교에서 가르쳐주는 게 불충분하다는 이유로 어쩔 수 없이 학원이나 사교육에 의존하는 부모들도 많을 거라고 생각해요. 저는 제가 원하는 대로, 아이들이 원하는 속도에 맞춰 교육하고 지원해줄 수 있어서 아이들도 저도 모두 만족스러워요.
"모든 사람은 다 다르고 각자 다르게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을 배우는 것이 독일 교육의 강점입니다."

Q) 한국 교육과 독일 교육을 비교했을 때, 이런 점은 한국에 도입되면 좋겠다, 하는 부분이 있다면 뭔가요?

한국에서는 아이들이 너무 많은 내용을 배우는 것 같아요. 독일식 교육처럼 하나를 배우더라도 아이들 스스로 찾고 생각하고 토론하면서 깊이를 채워갈 수 있도록 너무 빠른 방식이 아니라면 좋겠어요.

Q) 위 질문과 답에서 거론되지 않았지만 독일 교육에 대해서 꼭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면 들려주세요.

독일 교육의 장점을 좀 더 거론해보자면, 수학처럼 정답이 있는 과목은 정답도 중요하지만 풀이 과정이 맞는지도 중요하게 적용됩니다. 정답이 없는 과목은 다양한 의견이 인정되는 수업 방식인데 그 또한 좋은 방식이고요. 물론 독일 학교도 선생님이 어떤 분이냐에 따라서 수업 방식도 질적인 차이도 분명 존재하지만, 공통적으로 모든 사람은 다 다르고 각자 다르게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을 배운다는 점이 무척 중요한 부분입니다.
발표 수업도 많은데요. 그 때문에 어릴 때부터 파워 포인트를 배우고 다양한 자료를 찾는 방법도 배웁니다. 독일의 컴퓨터 교육은 코로나 시기를 통해 의도치 않게 더 많이 확장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컴퓨터를 이용해 게임만 하는 것이 아니라 검색과 자료 작성 등 더 많은 배움의 세계를 접해보도록 하는 독일의 방식은 긍정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1 이달에 읽은
무료 콘텐츠의 수

이달의 무료 콘텐츠를 모두 읽으셨네요.

유료 구독하시면 갯수 제한 없이 마음껏 읽으실 수 있어요!

Powered by Bluedot, Partner of Mediasphere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