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5세가 되기도 전 피아노를 시작해 6년 넘게 쉬지 않고 피아노를 배웠던 아들 아이는 6학년이던 지난해 피아노를 그만두었습니다. 이제 '예체능 끊고 공부를 해야 할 타이밍' 이런 이유는 절대 아니고, 아이가 더 이상 피아노에 흥미를 느끼지 못한다는 것을 느꼈기 때문입니다. 그저 취미였지만 피아노를 시작하고 단 한 번도 지루해 하지 않았는데 보아하니 선생님이 내주신 숙제를, 그것도 레슨 당일 선생님 오시기 직전에 마지 못해 하고 있더라고요. 즐겁기는커녕 숙제를 마쳐야 한다는 의무감에 너무 괴로워 하면서요.
안 되겠다 싶어서 피아노를 그만 둘 것을 제안했습니다. 장래 희망 중 하나가 작곡가인 데다 스스로 '나는 피아노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는 자부심이 있는 아이는 '흥미가 떨어진 것은 맞지만 레슨은 계속 하겠다'고 고집을 피웠습니다. 판단컨대 그마저도 피아노를 놓으면 안 될 것 같다는 생각을 한 게 아닌가 싶어요. 피아노를 시작할 때도 스스로 하고 싶은 마음으로 했듯이 그만두는 것도 아이의 의사를 충분히 반영해주고 싶어서 두 달의 유예 기간을 주었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이는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여전히 겨우 일주일에 한 번 레슨 시간에만 피아노 앞에 앉는 일이 내내 반복됐죠.
더 이상 고집을 부릴 수 없었던 아이는 '내가 언제라도 배우고 싶은 마음이 들면 그때 다시 레슨을 해도 된다는 약속을 해달라'는 단서를 달고 피아노를 그만두었습니다. 아, 정확히 표현하면 다시 즐겁게 자발적으로 치고 싶은 마음이 들 때까지 '잠깐 쉬기로' 한 겁니다.
처음에 저는 아이가 6개월 안에 마음이 돌아올 것이라고 예상했어요. 그런데 아니더라고요. 무려 1년이 지나도록 아이는 '다시 피아노가 하고 싶어졌다'는 말을 하지 않았어요. 그랬던 아이가 한 달 전부터 다시 피아노 레슨을 시작했습니다. 계기는 독일에서 아이에게 피아노를 가르쳐주셨던 선생님의 귀국이었습니다. 초등학교 1학년 2학기부터 4학년 첫 학기까지 만 3년 간 아이에게 피아노를 가르쳐준 선생님이 독일 유학을 끝내고 한국으로 돌아왔다는 소식이 아이의 마음을 흔든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