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16일, 아이는 학교에서 단체로 참가하는 '매쓰캥거루 국제수학경시대회'를 치렀습니다.

(*독일의 많은 학교에서 수학 실력을 평가하는 잣대로 삼는 '매쓰캥거루'는 국제 수학 경시 대회입니다. 1980년 호주에서 시작해 현재 전 세계 80여 개국의 수많은 학생들이 참가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도 지난 2018년 이 대회가 도입됐습니다. 그러나 한 날 한 시에 치러지는 글로벌 대회와 달리 한국 대회는 일정이 좀 다르더라고요, 올해 대회 역시 다른 나라들은 모두 3월 16일에 치렀지만 한국 대회는 오는 4월 8일에 열린다고 하네요.)

독일에서 돌아와 4학년으로 편입한 후 올해로 세 번째 참가입니다. 그런 걸 하는 줄도 모르고 참가한 첫 해부터 아이는 줄곧 성적이 좋습니다. 첫해에도 교내 학년 1등을 했고, 작년에는 딱 한 문제를 틀려서 교내 시상식 단상에 오르며 어깨가 으쓱했습니다. 매쓰캥거루는 3-4학년, 5-6학년, 7-8학년 식으로 두 개 학년이 같은 문제지를 풀기 때문에 작년에 5학년이었던 아이가 5-6학년 문제에서 한 문제를 틀린 것은 학교에서도 꽤 이슈가 됐었습니다.

그런 이유로 올해 시험은 아이가 더 자신감이 있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비슷한 난이도의 시험을 이제는 6학년이 되어서 치르는 것이니 작년보다는 쉬울 것이라고 생각했겠죠. 그것도 그렇지만 시험 스트레스가 별로 크지 않은 아이는 학교 성적에도 반영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매쓰캥거루'에 대한 아무런 부담도 느끼지 않았습니다. 그래도 나름 국제수학경시대회이니 잘 보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는 저와 달리 아이는 '평소대로 하면 된다'는 강한 신념(?)을 갖고 있더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