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대입 레이스의 서막

최근 '대입 논술 전형'에 관한 질문을 많이 받습니다. 아마도 대학 수시모집이 조만간 시작되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8월 말 9월 초는 고3 수험생과 학부모들에게 중요한 시점입니다. 8월 말 생활기록부가 마감되고 9월이 되면 수능 원서 접수, 그리고 대학별 수시 원서접수 등이 시작되기 때문이죠. 2025학년도 대입 수시모집은 오는 9월 9일부터 원서 접수가 시작되는데, 대입에 있어 수시모집 비중이 상당히 높은 만큼 정작 9월이 본격 대입 레이스의 시작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2025학년도 대입 수시모집 비중은 전체 모집 인원 중 79.6%에 달하는데요, 이는 지난해보다 0.9% 포인트 오른 수치라고 합니다.


수시모집의 방식 중 절대적으로 많은 비중은 학생부교과전형이고, 그 다음이 학생부종합전형인데요, 이 두 전형을 합한 비중이 무려 86%에 달합니다. 다시 말해 수시모집의 대부분이 학생부교과 또는 학생부종합으로 채워진다는 얘깁니다. 모든 분들이 알고 계시겠지만 간단히 말하면 학생부교과전형은 내신으로 대학을 가는 것이고, 학생부종합은 학교생활기록부를 종합적으로 반영하는 전형이죠. 학생부종합전형도 내신을 보긴 하지만, 성적과 함께 고교 생활 전반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방식입니다. 이 두 전형을 제외하면 논술 전형과 실기 및 실적 전형이 남지만, 전 수험생에게 적용되는 수시전형은 논술입니다.

앞에서도 말했지만, 대입 시즌이 다가오면서 논술 전형에 관한, 정확히 말하면 준비 요령 등에 대한 질문과 요청을 받을 때가 많습니다. 필자는 대입 논술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은 아니지만 그럴 때마다 드리는 '답'이 있습니다. 오늘은 그 내용을 독자 여러분과 공유하려고 합니다. 다만 한 가지 전제할 점은 올해 당장 대입 논술 전형을 치러야 하는 수험생에게 해당되는 방식은 아니란 점입니다. 효과의 문제가 아니라 시간적 촉박함 때문입니다. 빠르게는 수능을 보기 전 논술 시험을 치르는 학교도 있고(9월부터 시작합니다), 아무리 늦어도 수능 직후 2주 안에 치러지는 몇 주 혹은 몇 달 안에 결과를 내야 할 수험생들은 차라리 목표하는 학교의 기출 문제 문제 위주로 '연습'을 하는 편이 가장 빠른 지름길일 테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