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상에는 그 어떤 드라마, 영화보다 흥미롭고 놀라운 소식들이 정말 많죠! 아이들이 들으면 눈 '번쩍' 뜨일 흥미진진한 토픽을 가지고 한번 잘~ 놀아보는 코너를 시작합니다. 재미는 기본, 상상력 자극, 풍성한 배경지식 덕분에 똑똑해지기까지 하는 <알고 보면 쓸 데 있는 뉴스>의 세계로 초대합니다.
오늘 다룰 뉴스는?
″서울시민 64%, 무임승차연령 상향 찬성” vs ”노인에 부담전가”(종합)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윤보람 기자 = 서울 시민 10명 중 6명이 현재 65세 이상인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 상향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향…
  • 무슨 일? 서울 시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 10명 중 6명이 현재 65세 이상인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 상향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상향 연령은 70세가 적정하다는 의견이 다수.
  • 찬성 이유는? 미래 세대의 부담 증가(39%), 사회적 인식 변화(37%), 지하철 없는 도시 노인과의 차별 발생(24%) 등이 이유.
  • 무임승차로 인한 손실 규모는?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체의 약 17%인 하루 751만명으로 손실액은 한 해 4천억원 수준. 재원 대책 없이 무임 승차로 인한 손실이 증가하면 안전 투자 기회를 놓치는 등 문제로 이어진다는 우려를 나타내기도.
  • 반대 입장은? 대한노인회 측은 지하철 적자의 원인은 무임승차가 아니라는 입장으로, 정년연장과 연금개혁, 노인연령 상향 등 세 가지가 맞물려 사회적으로 논의되어야 한다는 주장. 서울시 측도 이동권은 국가가 지원해야 할 기본적인 서비스라는 입장.